다다씨스터 육아 지식

개월별 낮잠 수면시간 수면횟수

다다씨님 2023. 5. 12. 00:02

개월별 권장 수면시간

0-3개월 : 15-18시간

4-12개월 : 12-16시간

1-2세: 11-14시간

3-5세 : 10-13시간

6-12세 : 9-12시간

13-18세 : 8-10시간

출처:미국수면의학회


개월별 낮잠 횟수

신생아-3개월 : 3-4회

3-12개월 : 2-3회

12-18개월 : 1-2회

18개월 - 1회

 

12개월 돌이 지나면서 오전낮잠이 짧아지거나 없어지면서 1회로 정착이 됩니다


 

 

0-3개월

신생아는 잠을 많이 자기 때문에 생후 몇 주 동안은 하루에 18시간까지 잡니다.

그리고 3개월이 될 때까지는 하루 15시간 동안 잠을 잡니다.

하지만 밤이든 낮이든 한 번에 3~4시간 이상 자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부모도 밤잠을 설치게 됩니다.

생후 6~8주 경에는 대부분의 아이가 나보다 밤에 더 오래 자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는 얕은 수면 상태인 렘수면 주기가 짧아지고 깊은 수면을 취하는 주기가 길어집니다.

하지만 밤시간 동안 젖을 먹기 위해 주기적으로 깹니다.

생후 8주만 되어도 밤에 깨지 않고 계속 자는 유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아기들이 생후 5~6개월이 돌까지 밤에 계속 깨기도 합니다.

 

3-6개월

대부분의 아기는 생후 3~4개월이 되면 하루 15시간을 자는데,

그중 10시간은 밤에 자고,

나머지 5시간은 낮 동안 세 번 정도로 나눠서 잡니다.

 

생후 6개월 정도부터는 하루에 2번 정도만 낮잠을 잡니다.

3개월에 접어들어도 초기에는 일어나서 젖을 먹어야 하겠지만,

6개월 정도가 되면 깨지 않고 밤새 자는 것에 적응할 것입니다.

아기가 잠자는 습관과 패턴을 배우는 것은 부모가 얼마나 도와주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6-9개월

이때 유아 개월별 아기 수면시간을 보면,

하루에 약 14시간 정도 수면을 취해야 하며,

한 번 잠들면 7시간까지도 잘 수 있습니다.

 

이 시기까지는 대부분 1시간 30분~ 2시간씩 하루에 두 번 정도

아침과 오후로 나눠서 낮잠을 잡니다.

야간 취침시간과 낮잠시간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면 아기가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갖는 데 도움이 됩니다.

9-12개월

이때에는 밤에 10~12시간 정도,

그리고 낮에는 1시간 30분~ 2시간 정도씩 하루에 두 번 낮잠을 자야 합니다.

수면은 아기가 성장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므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규칙적인 시간에 낮잠을 재우고,

낮잠시간이 늦게 되면 밤에 아기를 재우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1-2세

여전히 많은 잠이 필요합니다.

두 돌까지는 하루 약 14시간의 수면이 필요하며,

밤에는 약 11시간을 자야 합니다.

돌 때까지는 하루 두 번 낮잠을 자지만,

18개월 정도부터는 하루에 한 번 1시간 반~ 3시간 정도

오후 낮잠을 자게 됩니다.

이러한 수면습관은 약 4~5세가 될 때까지 지속됩니다.

 

3-5세

아이들은 밤에 11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합니다.

낮에 1시간 30분 ~2시간 정도 낮잠을 자야 합니다.

이 시기 대부분의 아이들은 보통 오후 7~9시 사이 잠자리에 들고,

오전 6시 30분 ~8시에 일어납니다.

아이의 수면 패턴은 결국 부모와 비슷해지겠지만

만 4세가 되기 전까지는 부모보다 렘수면 시간이 깁니다.

따라서 아기는 한 수면 단계에서 다른 수면 단계로 변화는 과정을 많이 겪으며

부모보다 더 자주 잠에서 깨게 됩니다.

그러므로 밤에 아기가 자꾸 깨는 것 때문에 수면에 방해를 받고 싶지 않다면,

아기 혼자서 쉽게 다시 잠드는 법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잠시기

보통 36개월까지는 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 4세까지 50%의 아이들이 자고

만 5세가 되면 30% 미만으로 점차 안 잔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보통 유치원에 입학을 하면서 낮잠시간이 수업과정에 없어지고

초기엔  자고 싶어 하는 아이들은 잘 수 있게  하지만 점차 적응하면 낮잠은  없어집니다.

물론 아이마다 기질이나 특성에 따라 편차가 있습니다.

 

저희 둘째는 6개월에서 7개월즘 2회로 줄었고

지금 돌이 지나고는 어린이집을 가게 되면서

1회 1-2시간으로 정착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낮잠 1-2시간 밤잠 9시부터 8시까지 11시간 정도 자고 있습니다.

중간에 잠투정으로 깨기는 하지만요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

 

아이의 수면 시간과 수면의 질은 아이의 일상생활에서 아주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급성장을 하는 시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개월별로 수면의 시간 및 횟수를 체크해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몇 가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바로 잘 재우는 방법입니다.

 

1. 수면 스케줄 체크

아기들이 피곤할수록 잠자기 어려워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이 수면을 방해기 때문이죠

수면 전문가들은 '수면 신호를 포착해라'라고 조언합니다.

아이의 잠 신호로는 눈 문지르기, 눈을 동그랗게 뜨고 허공 보기,

하품, 활동 느려짐, 징징거리면 짜증부림들이 있습니다.

 

2. 잠들기 1시간 전, 차분한 분위기 조성

잠들기 직전까지 신나게 놀다가, 갑자기 재우려면

흥분이 가라앉지 않아 아이도 잠들기 어려워집니다.

잠자리에 눕기 1~2시간 전부터 차분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조명은 낮추고, 조용한 음악을 틀어줍니다.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차분한 노래를 듣는 것도 괜찮습니다.

 

3. 기상 시간 체크

늦게 일어나는 아이는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아이는 일찍 잡니다.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는데 아이가 늦게 잔다면,

기상 시간을 체크해 보세요.

1~2주일 정도 아이 잠버릇을 바꾸겠다고 생각하시고

아이가 몇 시에 잠들었던 동일한 시각에 깨우시기 바랍니다.

 

4. 식사 스케줄 식사량 체크

수면 습관은 단순히 '잠'에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잘 먹으면 잠도 잘 잡니다.

규칙적인 생활 속에서 하루 일과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아이의 수면 스케줄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식사 스케줄, 식사랑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백색 소음

백색 소음이란 귀에서 편안하게 들리는 일정 주파수를 말합니다.

유튜브에 찾아보시면 백색소음 소리들이 많습니다.

카페에서 공부할 때,

사람들의 잡담 소리가 오히려 집중력을 높여주기도 합니다.

신생아 아기들에게는 이 백색소음이 자궁 속 소리처럼 들립니다.

 

반응형